전체 글 43

PER, PBR, ROE 주요 투자지표 쉽게 이해하기 (가치투자의 기초)

주식을 처음 시작하거나, 재무제표를 읽기 시작한 투자자라면 PER, PBR, ROE 같은 용어에 한 번쯤은 머리를 싸맸을 것이다. 마치 영어 문장을 읽듯, 숫자와 용어가 가득한 재무지표는 초보자에게 벽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이 세 가지 지표만 잘 이해하면, 기업의 가치를 비교하고 저평가 종목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제부터 PER, PBR, ROE에 대해 알기 쉽게 풀어보자. 1.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PER은 무엇인가?PER은 ‘주가가 이 회사의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가?’를 나타내는 지표다. 쉽게 말해,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수익 대비 주가가 적절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공식: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예시로 이해하기A회사의 ..

주식공부 2025.04.17

S&P500과 나스닥100 차이점 어렵지 않아요

해외 주식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S&P500과 나스닥100. 뉴스에서는 매일같이 “오늘 S&P500은 1% 상승 마감했습니다” 혹은 “나스닥100이 하락 전환했습니다”라는 말이 나오곤 하죠. 그렇다면 이 두 지수는 정확히 무엇일까요? 어떻게 다르고, 투자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1. S&P500이란?S&P500은 미국의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푸어스(Standard & Poor's)**에서 산출하는 미국을 대표하는 500개 기업의 주가 지수입니다. 1) 구성 기준뉴욕증권거래소(NYSE) 또는 나스닥(NASDAQ)에 상장된 미국 기업 중 시가총액이 크고 유동성이 높은 500개 기업.기술, 헬스케어, 금융, 산업재, 소비재,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군 포함.대표 종목: 애플, ..

주식공부 2025.04.16

국민연금 제도 개혁 실현 가능성은?

물가 상승과 고령화가 심화되는 한국 사회에서 ‘국민연금 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가 되었습니다. 국민연금은 1988년 도입 이후 노후소득보장이라는 중요한 사회안전망 역할을 해왔지만, 급속한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제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국민연금의 구조적 문제, 개혁 필요성과 방향성, 그리고 논의되고 있는 주요 개혁안들을 중심으로 전문가 시각에서 확인해보자. 국민연금 제도의 구조와 한계국민연금은 ‘부분적립 방식(부과식+적립식 혼합)’을 취하고 있으며, 현재 가입자들의 보험료로 기존 수급자의 연금을 지급하면서도 일부는 기금으로 적립하여 운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도 설계 당시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된 고령화와 출산율 하락은 기금 고갈을 앞당기고 있습니다...

뉴스로그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