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 3

PER, PBR, ROE 주요 투자지표 쉽게 이해하기 (가치투자의 기초)

주식을 처음 시작하거나, 재무제표를 읽기 시작한 투자자라면 PER, PBR, ROE 같은 용어에 한 번쯤은 머리를 싸맸을 것이다. 마치 영어 문장을 읽듯, 숫자와 용어가 가득한 재무지표는 초보자에게 벽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이 세 가지 지표만 잘 이해하면, 기업의 가치를 비교하고 저평가 종목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제부터 PER, PBR, ROE에 대해 알기 쉽게 풀어보자. 1.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PER은 무엇인가?PER은 ‘주가가 이 회사의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가?’를 나타내는 지표다. 쉽게 말해,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수익 대비 주가가 적절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공식: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예시로 이해하기A회사의 ..

주식공부 2025.04.17

PER vs PBR: 가치 투자에 더 중요한 지표는?

숫자 너머의 가치를 읽는 법 “이 기업 PER이 5야. 완전 싸지 않아?”“아니야, PBR 0.6이 진짜 저평가지!” 주식 투자에서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은 늘 비교되는 두 형제 같은 존재입니다. 누군가는 PER을 보고, 또 누군가는 PBR을 본다며 열띤 토론을 벌이기도 하죠. 그런데 가치 투자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과연 두 지표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할까요? 오늘은 이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파헤쳐보자!1️⃣ PER, 기업의 '수익성'을 본다 PER은 기업이 얼마나 벌고 있는가에 주목하는 지표입니다.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순이익이 1,000원이라면 PER은 10입니다. 이 말은 “현재..

주식공부 2025.03.25

워렌 버핏도 보는 PBR, 그는 어떻게 활용했을까?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Warren Buffett)은 우리가 흔히 아는 가치투자의 대명사입니다. 그의 투자 방식은 복잡한 기술적 분석보다는 기업의 내재가치에 집중하는 매우 단순하고 직관적인 철학을 가지고 있죠. 많은 투자자들이 버핏의 전략을 따라하고자 하지만, 그의 통찰력을 완전히 따라가긴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버핏은 **PBR(주가순자산비율, Price to Book Ratio)**을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했을까요?PBR이란 무엇인가? 먼저 간단히 PBR에 대해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PBR은 한 기업의 주가가 장부가치(자산가치)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PBR = 현재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BPS)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주당 순자산이 10,000원인데 주..

주식공부 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