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3

PER이란? 투자자의 나침반

PER의 정의와 의미 PER(Price to Earnings Ratio), 우리말로 주가수익비율이라 불리는 이 지표는 주식 투자자라면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할 핵심 개념입니다. PER은 쉽게 말해 **“현재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표입니다.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10,000원이고, 연간 순이익이 1,000억 원이며 발행주식 수가 1억 주라면, 주당순이익(EPS)은 1,000원이고 PER은 10배가 됩니다. 이 말은 현재 A기업의 주식을 사면 이익을 통해 투자 원금을 회수하는 데 10년이 걸린다는 뜻입니다. PER이 낮을수록 수익 대비 주가가 저렴하다는 의미이며, PER이..

주식공부 2025.04.24

PER, PBR, ROE 주요 투자지표 쉽게 이해하기 (가치투자의 기초)

주식을 처음 시작하거나, 재무제표를 읽기 시작한 투자자라면 PER, PBR, ROE 같은 용어에 한 번쯤은 머리를 싸맸을 것이다. 마치 영어 문장을 읽듯, 숫자와 용어가 가득한 재무지표는 초보자에게 벽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이 세 가지 지표만 잘 이해하면, 기업의 가치를 비교하고 저평가 종목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제부터 PER, PBR, ROE에 대해 알기 쉽게 풀어보자. 1.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PER은 무엇인가?PER은 ‘주가가 이 회사의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가?’를 나타내는 지표다. 쉽게 말해,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수익 대비 주가가 적절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공식: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예시로 이해하기A회사의 ..

주식공부 2025.04.17

PER vs PBR: 가치 투자에 더 중요한 지표는?

숫자 너머의 가치를 읽는 법 “이 기업 PER이 5야. 완전 싸지 않아?”“아니야, PBR 0.6이 진짜 저평가지!” 주식 투자에서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은 늘 비교되는 두 형제 같은 존재입니다. 누군가는 PER을 보고, 또 누군가는 PBR을 본다며 열띤 토론을 벌이기도 하죠. 그런데 가치 투자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과연 두 지표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할까요? 오늘은 이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파헤쳐보자!1️⃣ PER, 기업의 '수익성'을 본다 PER은 기업이 얼마나 벌고 있는가에 주목하는 지표입니다.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순이익이 1,000원이라면 PER은 10입니다. 이 말은 “현재..

주식공부 2025.03.25